서울시에서 ‘희망두배 청년통장’ 신규 참여자 7,000명을 6월 2일부터 6월 24일까지 모집합니다. ‘희망두배 청년통장’은 일하는 청년이 매월 10만원‧15만원을 2년 또는 3년 간 꾸준히 저축할 경우 서울시에서 저축액의 100%를 추가 적립해주는 제도 입니다.
기존에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'기준중위소득 80%' 이하로 신청대상자 폭이 좁았지만, 올해는 부모‧배우자 등 부양의무자 기준을 대폭 완화하여 신청 문턱을 크게 낮췄습니다.

만18~34세인 청년 중 본인 월 소득이 255만 원 이하인 분들을 대상으로 하며, 부양의무자 기준은 연 1억원 미만(세전 월평균 834만원), 재산 9억원 미만이면 신청이 가능합니다.
신청자가 매월 10만원‧15만원을 2년 또는 3년 간 꾸준히 저축하면 서울시는 시 예산 및 민간재원으로 참여자 저축액의 100%를 추가로 적립해주고, 참여자는 만기 시 2배 이상(이자 포함)의 금액으로 돌려받을 수 있게 됩니다.
예를 들어, 청년희망통장에 가입하고 월 15만원 씩 3년 동안 저축하면 본인 저축액 540만원에 서울시 지원액 540만원을 더한 1,080만원과 이자를 지급 받게 됩니다.

| 본인저축액 | 지원금 | 2년 | 3년 |
| 10만원 | 10만원 | 480만원+이자 | 720만원+이자 |
| 15만원 | 15만원 | 720만원+이자 | 1,080만원+이자 |
‘희망두배 청년통장’ 가입을 희망하는 청년은 6월 2일부터 6월 24일까지 주소지 동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 가입신청서 및 구비서류를 제출해야 하며, 우편‧이메일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.
신청서식은 서울시 및 서울시복지재단 홈페이지, 자치구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다산콜센터(02-120)를 통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.
미래설계가 불안한 근로청년들이 안정적이고 구체적으로 미래계획을 세워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‘희망두배 청년통장’은 2009년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시작한 저소득층 목돈 마련 지원 사업인 ‘서울 희망플러스통장’을 모태로 합니다.
서울시는 ‘희망두배 청년통장’을 통해 지난 7년 간 총 18,100명의 자산형성을 도왔고, 특히 지난해에는 예년보다 두 배 이상 인원을 늘린 7,000명 모집에 17,034명이 신청(경쟁률 2.43:1)했을 정도로 청년들의 관심과 호응이 높았습니다.
| "한달에 50만원씩 6개월 동안 300만원 지급" 15~69세까지 신청 가능한 국민지원복지제도 (+신청방법) (0) | 2022.05.10 |
|---|---|
| "직장인이면 무조건 신청하세요. " - 가구당 300만원 주는 근로장려금 5월 1일부터 접수시작(+신청방법) (0) | 2022.04.30 |
| "바뀐 실업급여 제대로 모르면 못 받습니다." 22년부터 변경된 제도로 스스로 퇴사해도 받을 수 있는데 대부분 모른다는 실업급여 제도 (0) | 2022.04.27 |
| "매월 30만원 부모 소득 관계없이 현금지급" 영아수당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. (0) | 2022.04.11 |
| "이제 2살 어려집니다" - '한국 나이' 대신 '만 나이' 적용된다 (0) | 2022.04.09 |
댓글 영역